GONE TO HEIP

GONE TO HEIP

  • 분류 전체보기 (44)
    • 정보보안기사 (0)
      • 시스템 보안 (1)
      • 네트워크 보안 (2)
      • 어플리케이션 보안 (0)
      • 정보보안일반 (0)
      • 정보보안관리 및 법규 (0)
    • 모바일 개발 (5)
      • 안드로이드 (5)
      • IOS (0)
    • web웹 (16)
      • bwapp 실습 (8)
      • Dreamhack wargame (5)
    • reversing 리버싱 (3)
      • 코드엔진 BASIC (3)
    • CTF_Writeup (5)
      • 리버싱 rev (1)
      • 웹 web (3)
      • 시스템 system (1)
    • cloud computing (1)
      • 이론 (1)
      • 실습과제 (0)
    • system(pwnable)시스템(포너블) (7)
      • BOF (1)
      • Dreamhack wargame (5)
  • 홈
  • 글쓰기
  • 블로그
  • 방치되어버린블로그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GONE TO HEIP

컨텐츠 검색

태그

pwntools #shellcraft substring #length #bufferoverflow #pwntools #pwngdb 워게임 정보보안기사 #보안기사필기 #정보보안 인텔맥 #깃 #깃허브 심볼릭링크 #레이스컨디션공격 #시스템보안 #정보보안 드림핵 포너블 tcp #전송계층 #포트번호 Shellcode 암호학 #암호화프로토콜 #네트워크 #티켓기반 MacOS #맥 #php #apache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cloud computing(1)

  • 클라우드 기본 이론

    1. Time Sharing 및 Resource Pooling 개념이 클라우드 서비스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(6주차 1차시 듣고 보충) time sharing은 한 번에 하나의 일만 처리할 수 있는 cpu의 특성때문에 생겨난 개념으로, 여러 사용자들에게 컴퓨터 리소스를 시간적으로 분배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. 한편 resource pooling이란 resouce(컴퓨터 리소스)를 pool의 형태로 만들어놓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(사용자가 요청할 때마다 가져다 쓸 수 있게 하고 다 쓴 자원은 반납하여 다시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)하는 것을 말하는데, 이 두 가지 개념은 내가 필요로 할 때 요청을 통해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본 특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..

    2022.05.01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